오리도날껄
Google의 SEO 정리 본문
구글 SEO 정리
Title - 사용자와 검색 엔진에 특정 페이지의 주제를 알려줌
Title 태그가 있는지
페이지 내용과 관련이 있는 제목인지 (무제문서 또는 새 페이지 같은 기본 제목이나 모호한 제목 사용 금지)
해당 사이트의 모든 타이틀이 같은지 (페이지 마다 다른 타이틀을 다는 것이 좋음)
지나치게 긴 제목을 사용하지 않았는지? (태그는 간단명료하게 작성, 너무 길면 검색 결과에서 일부분만 표시되고 좋지 않음)
지나치게 불필요한 키워드를 많이 사ㅋ했는지 ( 키워드 개수로 쓰레쉬 홀드 잡아서 사용할거 같음)
Description - 각 페이지의 요약 정보를 나타냄 (주로 1~2개 문장 또는 한개의 단락으로 구성)
너무 길어도 짧아도 또는 너무 여러번 반복 되어도 좋지 않음
페이지 콘텐츠와 관련이 있는 description 이여야함
“이것은 웹 페이지 입니다” 또는 “OO에 대한 페이지” 와 같이 너무 일반적인 설명은 피해야함
단순 키워드 나열은 좋지 않음
Description 메타 태그에 문서 전체 내용 복붙 (너무 길지 않더라도 본문 내용과 같은건 피해야 함)
모든 페이지에 또는 대부분의 페이지에 동일한 메타 태그는 좋지 않음 (사이트가 크다면 콘텐트 단위로 매타 태그를 생성 해야함)
URL 구조
알아볼수 없는 단어는 피해야함
지나치게 긴 URL도 좋지 않음
알수 없는 매개변수 피해야함 (사용자가 불필요하다고 생각되어서 링크시 일부분을 빠트릴 수 있음 -> ...?사용자가 굳이?)
URL에 키워드가 있으면 가산점
URL은 단순할 URL구조를 유지하는게 좋음 (https://support.google.com/webmasters/answer/76329 참조)
사이트의 내용 및 구조와 관련된 단어가 있는 URL이 더 좋음
불필요한 매개변수나 세션 ID는 피해야함
Page1.html 와 같은 일반적인 페이지 이름은 피해야함
Car-seat-car-seat-car-seat-car-seat.html 와같이 위에서 말한 키워드 가산점을 위한 과도한 키워드 반복은 오히려 마이너스
..com/dir1/dir2/dir3/dir4…/dir8/page.html와 같이 너무 깊이 중첩된 하위 디렉토리 구조는 마이너스
내용과 관련이 없는 디렉토리 이름은 피해야함 (위에 예시와 같이 단순히 dir1/dir2/와 같은 이름은 피해야함)
가능하면 하나의 page에 하나의 URL을 사용하는 것이 좋음
만약 부득이 하게 한 page에 여러 URL을 사용할 경우 301 리디렉션 또는 rel=“canonical” 속성을 통해서 표준 URL 설정해야함
URL에 자연스럽지 않은 대문자는 마이너스
사이트 내의 이동 - 수집기에게 각각의 페이지가 전체 사이트 내에서 어떤 역활을 담당하는지를 파악하게 하는데 도움이 됨
XML 사이트맵이 있어야 혹 발견되지 않을 수도 있는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 정보를 검색 시스템에 알려줄 수 있습니다.
선호 도메인 설정은 도움이 됨 (https://support.google.com/webmasters/answer/44231 )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들이 전체 페이지를 링크하는 경우는 피해야함
콘텐츠를 지나치게 세분화는 피해야함 (아마도 디렉토리 depth가 길어지는 거랑 비슷한 의미일듯)
이동 경로를 위해 텍스트 링크 사용 (그림이나 애니메이션 앵커 보다는 텍스트 앵커가 검색 엔진에게 좋음)
Xml 사이트맵 페이지가 깨지거나 업데이트 되지 않은 상태로 방치하는 경우는 피해야함
검색 엔진에 404 페이지에 대한 색인이 생성되도록 허용하면 안됨 (...? 아마도 삭제된 글에 대한 링크가 들어왔을 때 다른 곳으로 301 리다이렉션 해주라는 뜻일듯...)
404 페이지에 찾을 수 없음 또는 단순히 404와 같이 애매한 메세지를 제공하거나 아예 404 페이지를 제공해주지 않으면 감점
사이트 전체 내용과 일관되지 않은 404 페이지 디자인은 경우 감점 (잘된 예: github 404, 단순히 호스팅 업체의 404페이지도 좋지 않음)
우수한 품질의 콘텐트와 서비스 제공
대부분의 블로거나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은 좋은 글의 경우 자신의 블로그나 소셜 미디어 서비스에 공유함 -> 해당 사이트 또는 페이지로 많은 백링크들이 있다면 가산점
내가 생각하는 키워드와 실제 사용자가 유입되는 키워드가 같은지 분석해야함
철자나 문법 오류가 많은 경우 마이너스
텍스트를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는 것은 검색 엔진은 읽을 수 없음
너무 다양한 주제 또는 키워드에 대해서 한 페이지에 단락, 부제목 등 없이 작성하는 것은 마이너스
비슷한 내용을 다시 사용하거나 복사하는 것은 마이너스
중복 콘텐츠는 피해야합니다 (https://support.google.com/webmasters/answer/66359 )
검색 엔진을 겨냥하여 너무 많은 불필요한 키워드는 마이너스
고의적인 사용자에게는 텍스트 숨기고 검색 엔진에게만 표시하는 경우는 마이너스 (https://support.google.com/webmasters/answer/66353 )
보다 나은 앵커 텍스트 작성
앵커 텍스트 내용과 해당 페이지의 내용과 비슷하다면 가산점
페이지, 문서, 여기 등과 같은 일반적인 앵커 텍스트는 피해야함
앵커 텍스트가 주제와 벗어나거나 해당 페이지와 관련이 없다면 마이너스
페이지 URL 통째로 앵커 텍스트로 사용은 권장하지 않음
너무 긴 문장 또는 문단 등과 같이 앵커 텍스트가 너무 길면 마이너스
앵커 텍스트의 텍스트 스타일이 일반 텍스트와 같다면 마이너스
너무 많은 키워드는 마이너스
불필요한 내부 링크가 너무 많아도 마이너스
이미지 사용의 최적화
이미지 속성 중 파일 이름과 alt 속성 모두 다 존재해야함
너무 많은 이미지 링크는 마이너스인듯?
이미지의 경우 디렉토리 패스가 통합된 곳이 좋음
1.jpg, pic.jpg 등과 같이 일반적인 이름 또는 의미 없는 이름은 좋지 않음
이미지 파일명이 너무 길어도 마이너스
Alt 텍스트에 너무 많은 키워드 또는 전체 문장 복사 붙여 넣기 같이 너무 긴 텍스트는 좋지 않음
이미지에 대한 사이트맵을 추가하는게 좋음
이미지 링크에서 alt 텍스트가 너무 길어도 좋지 않음
제목 테크 - (h1, h2, … h6)
제목 태크에 페이지 구조 정의와 관련 없는 텍스트가 올 경우 마이너스
제목 태그가 올 곳이 아닌곳에 제목 태그를 써도 좋지 않음 ex) <strong> 태그를 쓸 자리에 <h3> 태그를 사용
불규칙한 제목 태그 사용은 마이너스
너무 많은 제목 태그는 좋지 않음
페이지의 모든 텍스트를 제목 태그에 배치하는 것은 마이너스
제목 태그를 구조 표현이 아닌 스타일 지정용으로만 쓰는 경우 위의 <strong> 와 같은 경우
robots.txt 사용 - 검색 엔진이 사이트에 접근하고 크롤링할 수 있는 부분을 알려주어 검색 엔진의 트래픽을 조절하는데 사용됨
robots.txt 사용 여부
robots.txt 가 반드시 해당 이름으로 루트 경로 바로 밑에 있어야함
robots.txt를 통해 사이트 전반에 대한 차단이 되어있으면 안됨
rel = "nofollow" 링크 속성 - 스팸 댓글 방지용, 사이트의 특정 링크를 따르지 말거나 페이지의 인지도를 링크된 페이지로 전달하지 말라는 의미
내 사이트의 글에서의 링크가 악성 스팸성 사이트에 링크되는 경우 마이너스
모바일 최적화
robots.txt 에 혹시 모바일 기기만 접근 가능하게 설정해놨는지 확인해야함
모바일 사용자 또는 모바일용 검색 엔진이 데스크탑용 페이지에 접근한다면 리다이렉트를 통해서 모바일 페이지로 보내주는 것이 좋음
2의 경우에서 리다이렉트 된 페이지는 이 전페이지와 비슷한 콘텐츠를 가져야함
User-agent에 따라 적절히 다르게 페이지를 보여주는 것은 가산점!
하지만 클로킹(cloaking)(일반 사용자와 검색 엔진에게 보여주는 컨텐츠를 일부로 다르게 하는 것)은 검색 결과에서 삭제 될 수 있음
웹사이트 홍보
너무 과도한 백링크는 오히려 악영향
너무 많은 분야의 백링크 보다는 집중된 주제에 대한 백링크를 받는게 좋음
'SEO'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과 빙의 SEO 공통점 및 차이점 (0) | 2018.03.26 |
---|---|
Google과 Bing SEO 차이 (0) | 2018.02.27 |
웹 마스터 도구란? (0) | 2018.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