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도날껄
웹 마스터 도구란? 본문
Web Master Tool 이란?
Web Master Tool, 웹 마스터 도구, 본인이 운영하는 사이트가 수집이 잘되고 인덱싱이 잘되고 있는지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게하는 도구를 말합니다.
Naver wmt - 네이버 웹 마스터 도구,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본인의 사이트의 수집, 인덱싱, 지표 등을 모니터링 및 관리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 수집, 색인, 품질 현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robot.txt - 해당 웹사이트에 크롤러가 접근 했을 때 이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한하고 웹사이트의 사이트맵의 위치를 알려주는 역활을 하는 파일
Ex) 모든 로봇에 대해서 /tmp/, /junk/ 하위 폴더들은 접근 하지 못하도록 설정
User-agent: *
Disallow: /tmp/
Disallow: /junk/
sitemap.xml - 웹사이트 내 모든 페이지의 목록을 나열한 파일로 책의 목차와 같은 역활 수행. 쉽게 발견되기 쉽지않은 파일들도 크롤되고 색인 될수 있게 도와준다.
관련 용어 정리
Root - 어떤 사이트의 시작 주소(=entry)
Feed - 주기적으로 방문해야 하는 url. Ex) 디시인사이드의 갤러리 url의 경우 시간의 지남에 따라 내용이 계속 바뀌므로 일정 시간 마다 방문 해야함
Article - 우리가 원하는 정보가 담겨있는 글
paging 기법 - sunny 전 크롤러인 r2의 크롤링 정책. 1, 2, 3… 페이지 순서대로 다 방문함
nTicket - 얼마나 자주 해당 페이지를 방문해야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티켓이 많을 수록 자주 방문한다. 반대로 티켓 수가 낮은데 최근에 방문했었던 페이지라면 크롤링 하지 않고 넘김
Default url 2개 - sunny가 새로운 페이지를 발견했을 때 Nami DB에 넣는 최초 2개의 url. www.호스트.com/ 과 www.호스트.com/*
Name Rule - 특정 anchor를 nami db에 넣으면 룰에 따라 policy를 정해줌. 이 policy 중에 nTicket 등이 있음
Class - 특정 사이트를 일정 수준 이상 방문하고 가치가 있다고 인정된다면 clustering을 통해 새로운 class를 하나 만들어냄.
Class key - 특정 url에서 바뀌는 키워드. Ex) www.디씨.com?gallery={naver} 에서 {} 안의 키워드가 class key가 됨.
'SEO'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과 빙의 SEO 공통점 및 차이점 (0) | 2018.03.26 |
---|---|
Google과 Bing SEO 차이 (0) | 2018.02.27 |
Google의 SEO 정리 (0) | 2018.02.27 |